카테고리 없음

FOMC란? 경제 기초 단어 최대한 쉽게 정리

JNN 이슈2285 2025. 10. 8. 23:48
반응형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FOMC라는 단어를 많이 보게 될 것입니다.

"FOMC 결과 발표", "FOMC 의사록 공개", FOMC가 금리를 동결했다" 같은 표현이 많이 나오죠.

도대체 FOMC가 무엇이길래 전세계 증시가 요동치고 환율이 들썩거릴까요?

오늘은 FOMC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OMC 뜻 의미 기준 금리 인하 동결 인상

FOMC란? FOMC의 뜻

FOMC는 영어로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즉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뜻합니다.

이 FOMC는 미국 중앙 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eral Reserve) 안에 있는 조직이죠.

연준 연방준비제도 Fed

쉽게 말해 미국의 금리와 돈의 흐름을 결정하는 핵심 회의체라고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같은 역할이죠.

 

반응형

 

FOMC가 하는 일은?

FOMC가 하는 일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할텐데요. FOMC의 가장 큰 역할은 기준금리를 정하는 일입니다.

기준금리란 돈을 빌릴 때의 기본 이자율이라, 이 숫자 하나로 경제의 온도가 바뀌곤 하죠.

먼저 금리를 올리면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물가가 안정됩니다. 다만 경기 둔화 가능성이 생기죠.

그리고 반대로 금리를 내리면 돈이 시장에 풀려 소비 및 투자가 늘어나지만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의 위험이 생깁니다.

그래서 FOMC는 경제 상황을 보고 금리를 올릴지 내릴지 결정합니다.

FOMC의 기준금리 결정에 따라 전세계 주식시장, 환율, 부동산까지 모두 영향을 받게 되는거죠.

FOMC 기준금리 금리 인하 동결 인상 한국 금통위 연준

왜 미국의 FOMC가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줄까?

왜 하필이면 미국의 FOMC가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국이자 달러의 발행국입니다.

달러는 전 세계 기축통화로, 대부분의 국제 거래가 달러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미국의 금리가 오르면

달러 가치가 상승, 신흥국 통화 가치 하락, 외국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현상까지 생기게 됩니다.

즉, FOMC의 한 마디가 전 세계 투자자들의 돈의 흐름을 바꾸는 것이죠.

연준 연방준비위원회 FOMC 의장 파월

FOMC가 열리는 주기는?

FOMC는 1년에 8번, 약 6주마다 한 번씩 열립니다.

보통 회의가 끝나면 "금리 동결, 인상, 인하" 중 하나를 발표하고

FOMC의 의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 경제 전망을 설명합니다.

금리 인하 환호 연준 연방준비위원회 Fed FOMC

이 때 시장은 단어 하나, 문장 하나에도 격하게 반응하죠.

예를 들어 의장이 "물가 안정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 라고 말한다면

금리를 더 올릴 것 같다는 해석이 나오고 주가가 떨어지기도 합니다.

 

FOMC가 경제에 미치는 실제 영향

FOMC가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자면

주식 시장의 경우 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대출 이자가 늘고 소비가 줄어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할경우 투자와 소비가 늘어 주가가 상승하기 쉽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경우에는 금리가 오르면 대출 부담이 커져 집값 상승세가 꺾일 수 있죠.

반대로 금리가 내라가면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띠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가 높을 수록 달러가 강세, 원화가 약세가 되므로 수출 기업엔 유리하지만 수입물가는 오르기 때문에 생활비가 많이 들 수 있습니다.

FOMC 기준 금리 결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결론: FOMC는 세계 경제의 기상청

기상청이 비를 예측하듯, FOMC는 미래 경제의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습니다.

미국 금리가 어디로 향하는지에 따라 세계 금융 시장의 흐름이 결정되기 때문에

뉴스에서 "이번 주 FOMC 회의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는 말이 매번 나오는 것이죠.

 

오늘 FOMC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다음번에 뉴스에서 FOMC라는 말이 들리면 조금 더 귀기울여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