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안 비행기 사고, 대참사 사고 원인은?

JNN 이슈2285 2024. 12. 30. 00:13
반응형

올해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또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12월이 마가 낀 듯이 많은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데요. 전남 무안 국제공항 활주로에 여객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해 사상자가 무려 역대 3번째인 179명이 사마앟고 2명 생존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무안 비행기 사고에 대한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무안 비행기 사고 경위

이번에 발생한 무안 비행기 사고는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일어난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 사고 이후 11년만에 일어난 대한민국 국적기 사망 사고입니다. 29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오전 9시 3분께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B737-800)는 무안공항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 말단 지점에서 활주로를 이탈해 공항 외벽에 부딪히며 폭발했습니다.

 

해당 항공기에는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탑승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번 무안 비행기 사고의 항공기인 HL8088의 제작 일자는  2009년 2월 3일로 기령 15년의 항공기라고 합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이번 사고로 인해 구조된 승무원 2명을 제외하고 탑승 인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반응형

무안 비행기 사고 역대 세번째

무안 비행기 사고는 역대 세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낳은 참사입니다. 지금껏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여객기 사고는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입니다. 옛 소련의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1983년 대한항공 보잉 747 비행기가 소련 격투기에 피격돼 탑승객 269명이 사망한 사고입니다. 그 다음으로 사망자가 많았던 사고는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입니다. 1997년 당시 대한항공 B747-300 여객기가 괌에서 추락해 225명이 사망했습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하지만 이번 무안 비행기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피해 규모가 가장 큰 참사입니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했던 비행기 사고 중 가장 인명 피해가 컸던 사고는 1993년 아시아나 해남 추락 사고인데 당시 66명이 사망했습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은?

무안 비행기 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은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입니다. 전문가들은 랜딩기어(착륙 시 사용하는 바퀴)가 제대로 내려오지 않은 것이 참사의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를 꼽고 있습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다만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해 항공기 양쪽 엔진과 유압장치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의문도 제기되었다고 합니다.

 

29일 항공 업계에 따르면 무안 사고의 여객기는 이날 무안공항 1번 활주로에 접근했지만 1차 착륙을 하려다 정상 착륙이 불가능해 다시 돌아간 후 착륙을 시도했습니다. 2차 착륙을 시도한 항공기는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했고 공항 끝단 구조물과 충돌 후 동체가 파손되며 폭발했습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항공 전문가들은 랜딩 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물리적 원인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하면서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동체 착륙으로 인해 마찰이 원인이라는 해석과 랜딩기어 등 브레이크 장치 미작동으로 속도를 줄이지 못해 발생한 오버런 분석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합니다.

 

보통 여객기 사고의 원인 분석은 짧으면 6개월, 대형 사고의 경우에는 길면 3년이라고 합니다. 이번 사고의 여객기는 미국 보잉사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블랙박스 조사에도 미국에 보내는 증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무안 비행기 사고 원인 대참사 제주항공 보잉

무안 비행기 사고 글을 마치며

오늘은 무안 비행기 사고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이러한 사고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희생된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빌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클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